주변관광지 | 언제 어디서든 귀하를 최고의 VIP로 모시겠습니다.
롯데월드
+ 정보
- 365일 즐거움이 가득한 공간, 롯데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 이용시간 : 월~목,일 9:30~22:00 / 금,토 9:30~23:00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대지면적 12만 8245㎡, 연건축면적 58만 1684㎡이다. 1985년 8월 공사를 시작하여 1989년 7월에 완공되었다.
주요 시설물은 관광부문에 호텔 롯데월드, 유통부문에 롯데백화점 잠실점·롯데마트 월드점·쇼핑몰(전문상점가), 스포츠부문에 스포츠센터·아이스파크, 문화부문에 민속관·문화센터 ·연극공연장·영화관, 젊음의 광장, 레저부문에 롯데월드 어드벤처·매직아일랜드 등이다.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대규모의 실내공원으로, ‘모험과 신비’를 주제로 한 탑승시설·관람시설·공연 프로그램·세계의 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일본이 만든 디즈니랜드, 캐나다의 에드먼튼, 미국의 킹아일랜드 등과 비등한 규모이다. 역사전시관·모형촌·놀이마당·저자거리로 구성된 민속관은 종래의 박물관과는 달리 첨단 영상과 새로운 전시기법을 도입하였다.
북촌 한옥마을
+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경복궁과 창덕궁, 금원(비원) 사이 북악산 기슭에 있는 한옥 보존지구로 청계천과 종로의 윗동네라는 뜻으로 북촌이라고도 한다. 북촌은 고관대작들과 왕족, 사대부들이 모여서 거주해온 고급 살림집터로 한옥은 모두 조선시대의 기와집이다.원래 이 지역에는 솟을대문이 있는 집 몇 채와 30여 호의 한옥만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말부터 한옥이 많이 지어졌고, 1992년 가회동한옥보존지구에서 해제되고, 1994년 고도제한이 풀리면서 일반 건물들이 많이 들어섰다. 총 2,297동의 건물이 있는데, 이 가운데 1,408동이 한옥이고 나머지는 일반 건물이다. 북촌 거리에는 북촌양반생활문화전시관과 북촌 한옥촌 상징조형물을 설치되어 있고, 옛 선조의 생활모습을 구경할 수 있는 가회동 전통 마을축제가 열린다. 주변에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금원 삼청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의 관광지가 있다.
낙산공원
+ 정보
- 주소 : 서울 종로구 낙산길 41
- 이용시간 : 00:00~24:00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수도 서울을 구성하는 내사산(內四山:북악산·남산·인왕산·낙산)의 하나이자 주산(主山)인 북악산의 좌청룡(左靑龍)에 해당하는 낙산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문화환경을 복원함으로써 서울시민들에게 쾌적한 공원 경관을 제공하고, 자연 탐방을 통해 역사와 문화 교육의 장을 제공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면적은 6만 1145평으로, 1999년 12월 30일 착공해 2002년 7월 완공하였다. 주요 시설은 ① 전시 및 관리실, 매점 및 화장실, 비우당(庇雨堂), 육각 정자, 노인정 등 건축시설 5동 ② 12개의 배드민턴장과 1개의 농구장으로 이루어진 운동시설 ③ 10개의 휴게소와 117개의 의자로 구성된 편의시설 ④ 중앙광장·이벤트광장 및 3개의 전망광장으로 이루어진 광장시설 ⑤ 기타 안내판 외 28개 시설 등이다. 그 외에 공원 녹지화를 위해 소나무를 포함해 총 40종 8만 9670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덕수궁
+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덕수궁
- 이용시간 : 09:00~20:00 매표시간 20시, 퇴장시간 21시까지 / 월요일 휴무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124호로 지정되었다. 면적 6만 1500㎡. 덕수궁이란 궁명(宮名)은 조선시대 초부터 있었던 이름으로, 양위(讓位)한 태조의 소어궁(所御宮)을 정종(定宗)이 개성에 건립하여 덕수궁이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후 태종(太宗)이 서울로 재환도하여 지금의 창경궁(昌慶宮) 부근에 태조의 궁을 세웠을 때도 역시 덕수궁이라 하였다.
현재의 덕수궁은 본래 세조(世祖)의 큰아들인 도원군(桃源君:暲)의 큰아들, 즉 세조의 큰손자인 월산대군(月山大君:婷)의 개인 저택이었다. 도원군은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18세에 죽었기 때문에 세자빈(世子嬪) 한(韓)씨가 출궁(出宮)하게 되자 나라에서 이 집을 지어주고 두 아들과 함께 살게 하였다. 둘째아들인 자을산군(者乙山君)이 왕(成宗)으로 등극하면서 그의 어머니인 한씨도 입궐하게 되어 월산대군만이 거처하게 되었다.
여의도 한강공원
+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330 한강사업본부 여의도안내센터
- 이용시간 : 00:00~24:00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여의도한강공원은 정치, 금융, 언론의 중심지인 여의도에 자리하고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으로 접근성이 좋아 직장인과 일반시민들이 즐겨찾는 명소이자 봄꽃축제, 세계불꽃축제, 각종 공연 및 마라톤행사 등 다양한 행사가 이어져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풍부한 휴식공간입니다.
또한 밤섬, 여의도 샛강 등이 비교적 자연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생태학습장 및 자연친화형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N서울타워
+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산공원길 126
- 이용시간 : 평일 10:00~23:00 / 토요일 10:00~24:00 / 일요일 10:00~23:00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남산서울타워'는 효율적인 방송전파 송수신과 한국의 전통미를 살린 관광 전망시설의 기능을 겸비한 국내 최초의 종합전파탑으로 방송문화와 관광산업의 미래를 위해 건립 되었습니다.
차이나타운
+ 정보
-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59번길 12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 도시에 있는 중국인 집중거주지구를 가리키며, 특히 동남아시아와 미국에 많다. 다운타운에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음식점 ·식품점 ·잡화점 ·양복점 등이 밀집해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차이나타운은 아시아를 제외한 중국인 거리 중에서는 최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이 차이나타운은 1906년 4월의 샌프란시스코 대화재 후에 형성된 것이다. 또 같은 태평양 연안의 로스앤젤레스에도 이보다 규모가 작은 차이나타운이 있으며, 뉴욕 맨해튼의 차이나타운도 유명하다. 한국의 인천시 중구에도 차이나타운이 있다.
월미도
+ 정보
-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1가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지명은 섬의 생김새가 반달의 꼬리처럼 휘어져 있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1900년대 초까지 부천시 영종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9월 1일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원래는 인천역에서 서쪽으로 1km 거리에 있는 면적 0.66㎢의 섬이었으나, 1920년대 초 돌축대를 쌓아 내륙과 연결되면서 세관검역소측후소무선전신국을 비롯한 각종 기관들이 들어섰다. 현재 해안도로에는 놀이시설과 유흥시설이 늘어서 있으며, 1987년 7월 월미도 문화의 거리가 조성된 이래 문화예술 공연과 월미축제 등 각종 행사가 다채롭게 펼쳐지고 있다.
인천대공원
+ 정보
-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무네미로 236
- 이용시간 : 매일 05:00~23:00 하절기 / 매일 05:00~22:00 동절기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관모산(162m) 일대에 걸쳐 있으며 소래산 줄기의 상아산과 거마산을 끼고 있다. 관모산은 산의 모습이 관(冠)과 같아서, 거마산은 말이 서 있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위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도심 속에서 농촌 풍경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주요시설로는 92과 332종 6550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는 식물원과 1만 300여 주의 다양한 장미가 심어져 있는 장미원, 58종 231마리를 보유하고 있는 어린이동물원, 23만㎡의 수목원, 환경미래관, 자전거광장, 관모산등산로, 사계절 썰매장 등이 있다. 이밖에 백범광장과 전망대, 궁도장, 조각원, 야외음악당, 산림욕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인조잔디 운동장과 풋살장을 비롯한 운동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강화도
+ 정보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도
- 출처 : 네이버
상세설명
면적 302.4㎢, 남북길이 27km, 동서길이 16km, 해안선길이 99㎞이다. 2004년 4월 현재 2만 3459세대에 6만 569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가장 큰 섬으로, 최고점은 마니산(摩尼山:468m)이다.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고구려의 영토에 속하였던 400년경에는 혈구(穴口)·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 하였고, 신라에 귀속된 뒤에는 해구군(海口郡)·혈구진(穴口鎭) 등으로 개칭되었다. 939년 강화현, 1895년 강화군으로 개칭되었고, 1915년 교동면과 통합되었다. 1973년 강화면에서 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되었다. 고려시대 몽골항쟁의 근거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병인양요(丙寅洋擾)·신미양요(辛未洋擾)의 격전지이기도 하다.